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육사, 김좌진 등 독립군 영웅 흉상 ‘철거’ 논란 [신대원의 軍플릭스]
2018년 99돌 3·1절 맞아 제막한 지 5년만에 재정비
“자유민주주의·한미동맹 체감 환경 중점 재정비 사업”
육군사관학교가 충무관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영웅 홍범도, 김좌진, 지청천, 이범석 장군과 이회영 선생의 흉상을 교내나 교외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지난 2018년 99돌 3·1절을 맞아 육사 충무관 앞에서 제막식을 가진 홍범도·지청천 장군, 이회영 선생, 이범석·김좌진 장군 흉상(왼쪽부터)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육군사관학교가 교내 충무관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영웅 홍범도, 김좌진, 지청천, 이범석 장군과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회영 선생의 흉상을 교내 이전하거나 사실상 철거해 외부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육사는 25일 “군의 역사와 전통을 기념하는 교내 다수의 기념물에 대해 재정비 사업을 추진중”이라며 “그중에서 생도들이 학습하는 건물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군·광복군 영웅 흉상은 위치의 적절성, 국난극복의 역사가 특정시기에 국한되는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고 밝혔다.

육사는 이어 “이에 독립군·광복군 흉상을 다수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곳으로 이전하기 위해 최적의 장소를 검토중”이라며 “육사 교내에는 학교의 정체성과 설립 취지를 구현하고 자유민주주의 수호 및 한미동맹의 가치와 의의를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기념물 재정비 사업을 추진중”이라고 설명했다.

육사는 홍범도, 김좌진 장군 등의 흉상을 교내 내부는 물론 사실상 교내에서 철거해 외부로 이전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육사는 기존 밴 플리트 장군 동상이 있는 곳 일대를 한미동맹 기념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다만 안중근 장군 동상을 비롯해 강재구 소령 동상이나 심일 소령 동상, 화랑상, 문무상, 국민교육헌장탑 등 다른 기념시설과 기념물은 그대로 둔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생도들의 학습공간인 충무관 앞에 세워진 독립군·광복군 영웅 흉상을 학교의 정체성과 설립 취지 구현 등을 이유로 건립한 지 불과 5년 만에 이전하는데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육사 측이 독립군·광복군 영웅 흉상을 기존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면서 내세운 자유민주주의와 한미동맹 체감 환경 조성이라는 명분도 옹색하다.

홍범도, 김좌진 장군 등의 흉상은 지난 2018년 3월 1일 99돌 3·1절을 맞아 세워졌다.

흉상은 장병들이 사용한 5.56㎜ 소총 5만발 분량의 탄피 300㎏을 녹여 제작했다.

당시 육군은 실탄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 상황에서 봉오동·청산리대첩 등 만주벌판에서 일본군을 대파하고 조국독립의 불씨를 타오르게 한 선배 전우들의 숭고한 나라사랑정신을 기리기 위해서라는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흉상 중앙 표지석에는 ‘우리는 한국 독립군 조국을 찾는 용사로다 나가! 나가! 압록강 건너 백두산 넘어가자’는 ‘압록강 행진곡’ 가사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99주년을 맞이하여 후배장병들이 사용했던 탄피를 녹여 흉상을 만들어 세우다’는 생도들의 독립정신 계승 의지를 새겨 넣었다.

일각에선 국방부와 국가보훈부의 지시에 따라 육사가 독립군·광복군 영웅 흉상 이전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그러나 육사는 이 같은 의혹을 일축하면서 자체 계획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 육사 관계자는 “사업은 학교 자체 기념물 재정비 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훈부 역시 “‘보훈부가 육사 내 독립군·광복군 흉상 철거 및 이전을 지시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면서 “보훈부는 구체적인 사실관계 확인도 없는 일방적이고 터무니없는 주장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육사 관계자는 기념물 재정비 사업과 관련 “생도들이 학습하는 충무관 전체 복도와 로비 등에 고대부터 현대까지 국난극복의 역사 전체를 학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도 검토중”이라면서 “그곳에는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그리고 독립군과 광복군 6·25전쟁, 베트남 파병, 국지도발 대응작전, 해외파병 등 모든 역사가 포함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